자유게시판

    재벌까지 뛰어들어 다퉜는데..이젠 텅텅 빌까 걱정

    컨텐츠 정보

    본문

    한때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불렸던 면세점 사업이 코로나 19로 벼랑 끝으로 몰렸습니다.

    인천공항의 얼굴이라 할 면세점 입찰을 했는데, 전구역에서 다 유찰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겁니다.

    인천공항 측이 임대료까지 낮춰 제시했지만 소용이 없어, 이러다간 면세점이 텅 비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 

    김세진 기자의 보도입니다.

    ◀ 리포트 ▶

    2018년, 인천공항 1터미널 면세점 입찰에는 세간의 이목이 집중됐습니다.

    예상 매출 연 1조원.

    2개 구역 사업권을 놓고, 호텔신라의 이부진 사장, 신세계 정유경 사장이 자존심을 건 싸움을 벌였기 때문입니다.

    하지만 2년만에 상황은 180도 바뀌었습니다.

    지난 2월 첫 입찰에서 유찰과 사업포기가 이어지더니, 재입찰에서도 1터미널 면세 사업권 6개가 모두 유찰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.

    호텔 신라와 현대백화점은 아예 참가하지도 않았고, 가장 매출이 큰 화장품 구역에도응찰한 업체가 없었습니다.

    인천공항 측이 최저 입찰가를 30%나 낮추고, 한시적이긴 하지만 임대료를 매출에 연동해 받겠다고까지 제안했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.

    [면세업계 관계자] "현재로서는 코로나 19로 인한 불확실성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,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이…"

    올해 코로나 19로 출국객이 97% 줄면서 인천공항 면세점 매출은 사실상 없는 거나 다름 없는 상황.

    면세점 종사자 가운데 30%인 1만여명은 직장을 잃었습니다.

    가장 큰 고객인 중국이 직접 면세점을 키우는 등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, 코로나로 손님까지 끊긴 마당에 비싼 인천공항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말입니다.

    인천공항 면세점 임대료는 2015년에 비해 75%나 올라, 지난해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.

    [서용구 /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장] "면세점의 위기는 면세점의 일자리 문제와 직결되거든요. 변동성이 워낙 심한 산업이기때문에 그런 변동성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임대료는 매출에 연동되는 게 보다 합리적으로 보여지고요."

    전세계 공항 가운데 면세점 매출 1위를 자랑했던 인천공항.

    인천공항 측은 3차 입찰까지 실패하면 수의계약을 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최악의 경우 면세점 없는 공항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

    관련자료

    댓글 0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    Total 2,233 / 1 Page
    번호
    제목
    이름

    인기글


    최신 댓글


    공지사항


    쪽지 0
    댓글 0
    상담 0
    등업 0